(시)반갑습니다

물 한 계곡

강석구 2008. 9. 15. 21:36



      물 한 계곡



      동창이 밝아오고

      햇귀가 고개를 내밀 즈음

      도시의 그림 속에서 빠저나와

      물 한 계곡을 따라 오르는 길


      새색시 목욕물처럼

      김인 양 안개 피어오르고

      물 끼었는 소리처럼

      흐르는 물소리는

      귀를 기우리게한다


      산은 첫날밤 각시처럼

      사랑의 뜨거운 체온을

      달구려 하는 듯

      안개 옷 솔솔 벗어 올리고


      내비친 푸른 속살 나무들은

      부끄러워 볼그레해지는 얼굴처럼

      중추 (中秋)의하늘빛에

      물드는 시늉을 하며 나를 반기는데


      산 아래 속세 에서는

      사랑에 아파하고

      그리움에 잠 못 들어하는

      또 하나의 내 가 있군아.!

      매화 강 석 구


      2008년 9월 13일 아침 물 한계곡에서



물 한 계곡 (민주지산)
주소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개요
해발 1,242m의 민주지산은 한반도의 등줄기인 태백산맥에서 분기하여 남서로 뻗어내린 소백산맥이 추풍령에서 내려 섰다가 다시 기개를 일으키면서 형성된 민주지산은 충북영동, 경북김천, 전북 무주의 3도에 걸쳐 있는 삼도봉과 북으로 석기봉, 민주지산, 각호산으로 해발 1,100m~1,200m의 고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쌓여 20여km의 깊은 골을 만들었는데 이 곳이 바로 물한계곡이다.

태고의 신비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물이 차다는 한천 마을의 상류에서부터 시작된다.

관광지 매력
여름이면 물한계곡은 많은 피서객들이 찾아와 인산인해를 이루는 곳이다. 또한 민주지산, 삼도봉, 석기봉, 각호산은 사철 등산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정상을 잇는 능선에는 각종 잡목과 진달래, 철쭉등이 자리를 잡고 있어 어느 계절이든 장관을 이룬다.
물한리 종점에서 삼도봉을 향하다 보면 옥소폭포, 의용골폭포,음주암폭포 등이 있고 장군바위를 비롯 많은 소와 숲이 어우러져 더욱 시원하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삼도봉에는 3도 (충북,경북, 전북) 화합기념탑을 건립하여 매년 10월10일이면 3도만남의 날 행사가 개최된다.
산행코스
주차장 ☞ (25분) 0.8km 잣나무숲 ☞ (8분) 0.2km 옥소폭포 ☞ (12분) 0.5km 의용골폭포 ☞ (15분) 1.0km 음주암폭포 ☞ (35분) 1.1km 삼마골재 ☞ (25분) 0.7km 삼도봉 ☞ (40분) 1.2km 석기봉 ☞ (90분) 2.2km 민주지산 ☞ (30분) 0.9km 쪽새골갈림길 ☞ (30분) 1.0km 함수정 (잣나무숲) ☞ (20분) 0.8km 주차장 (산행거리 10.4km, 약 5시간 50분 소요)
교통 안내
물한계곡까지의 교통편
영동읍 ☞ 황간면 ☞ 매곡면 ☞ 상촌면 물한리
영동에서 상촌면 물한리까지 시내버스 이용(1일 5회 운행)
자가 운전시 관광지까지의 찾아오는 시간
황간i.c ☞ (10분) ☞ 21번군도 매곡면 ☞ (10분) ☞ 상촌면 ☞ (20분) ☞ 물한계곡 주차장
주변 관광지
조동산촌마을, 한천팔경, 반야사
민박
물한산장 민박집 : 영동군 상촌면 대해리 ; 043-743-7644,5 ; 박윤식011-317-7645
호도나무 민박집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가정, tel : (043) 745 - 3475
버스종점 민박집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종점, tel : (043) 745 - 1350
나그네 민박 강한구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937-5, tel : (043) 745 - 2480
대구민박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한천마을, tel : (043) 745 - 0040
삼도봉 민박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930-3 황용사 입구, tel : (043) 745-1266
민박집 이미경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한천마을, tel : (043) 745-8297
민박집 남영현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한천마을, tel : (043) 745-0905
민박집 임종석 : 영동군 상촌면 대해리 384번지, tel : (043) 743-4950
소개
1972년 10월 1일 창건한 황룡사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요사 2동과 산신각이 있고, 경내에는 대웅전 앞에 석등 2개, 7층석탑 2개, 연화대 석조입불살 등이 있다.
또 대웅전 뒤 동편 뜰에는 둘레 5미터 높이 2미터나 되는 큰 바위가 2개 있고, 요사 앞에도 큰 바위가 있어 장군바위라 불리어 왔고, 이 바위로 인해 이 계곡을 뛰엄박골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옛 부터 한 장군이 이 바위에서 앞바위로 뛰면서 무술을 연마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삼도봉대화합탑
주소 :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소개
삼도봉 화합의 탑은 충북 영동군과 경북 김천시, 전북 무주군이 지역 감정을 떨어버리고 인근 주민간의 화합 분위기 조성을 위해 만들었다.

건립장소는 삼도의 경계를 이루는 삼도봉 정상(1,176미터)에, 높이 2.6미터, 모형은 기단부가 대리석 거북조각, 탑신부는 대리석으로 용 조각, 상륜부는 오석 원구를 얻고, 도안은 동양화가 매봉 안병찬화백이, 제작은 서울 동강석재산업, 운반은 육군 제 5019부대에서 헬기를 지원하여 완성하였다.

탑 상륜의 원구는 둥근 해와 달을 표시하며, 영원한 화합을 상징하고, 탑신부 용조각의 청룡은 웅지, 기상, 등용(登龍), 길상(吉祥)으로 영원한 발전을 상징하고 있다.

그리고 청룡 3마리는 삼도를 뜻하고, 3마리의 용이 해와 달을 떠받쳐 빛을 발하게 함으로써 지역간의 화합을 상징하게 하였다.

1989년 9월 19일 삼도가 화합의 탑을 만들기로 발의, 1989년 10월 10일 제1회 만남의 날 행사 개최에 이어, 1990년 10월 10일 제2회 삼도 만남의 날에 삼도의 군수를 비롯한 각급 기관 단체의 장 및 주민이 이곳 삼도봉 정상에서 만나 이 탑의 제막식을 가졌다. 삼도의 삼군은 매년 10월 10일 가을에 만남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